-
국민연금, 낸 만큼 받는다고? 지금 바로 나의 예상 연금 확인하는 방법은?
국민연금은 대표적인 노후소득 보장 제도지만
"내가 도대체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납부한 것에 비해 손해는 아닌지"
궁금하면서도 막상 어디서 어떻게 확인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의 예상 수령액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과 조회할 때 꼭 확인해야 할 항목들을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국민연금은 납입 기간과 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두 가지 방식이 결합된 구조입니다.1. 기초연금액(균등부분)
→ 가입자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기본금
2. 소득비례연금액(보험료 낸 만큼)
→ 본인의 평균 소득과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짐
요소 반영 기준 가입 기간 10년 이상 시 수령 가능 (최대 40년 반영) 평균 소득 전체 가입 기간 중 월 평균 소득 수령 개시 연령 출생연도별 다름
- 1952년 이전 출생자: 만 60세
- 1953~1956년 출생자: 만 61세
- 1957~1960년 출생자: 만 62세
- 1961~1964년 출생자: 만 63세
- 1965~1968년 출생자: 만 64세
- 1969년 이후 출생자: 만 65세
(연기 시 최대 +36%, 조기 시 최대 –30%)예상 연금액 확인하는 방법
①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국민연금공단 사이트 접속개인 로그인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내 연금 알아보기' 클릭
'예상 연금 조회' 메뉴 선택→ 현재까지 납입 내역, 예상 수령 시작 시점, 월 예상 수령액 확인 가능
'연기 또는 조기 수령 시' 금액 시뮬레이션도 제공②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
앱 설치 후 간편인증 로그인'내 연금정보' → '예상연금 모의계산' 클릭가입 기간, 소득 입력 → 예상 수령액 자동 계산조기 수령, 연기 수령 비교도 가능기준소득월액 정보 (2025년)
2025년부터 기준소득월액 하한액은 40만 원, 상한액은 637만 원으로 변경됩니다.
이전 2024년에는 하한액 39만 원, 상한액 617만 원이었습니다.
평균소득월액(A값)은 전년 대비 3.3% 인상되었습니다.
예상 금액 확인 시 꼭 체크할 포인트
체크 항목 설명 가입 기간 10년 미만이면 수령 불가 → 임의가입 고려 평균 소득 고소득일수록 소득비례 연금액 증가 수령 연령 출생연도별 수급개시연령에 따라 다름 / 연기 시 최대 36% 증가 추납·반환금 이력 추납 납입 시 연금액 추가 반영됨 예시: 평균 월 소득별 예상 연금 (가입 20년 기준, 2025년)
평균 소득 (월) 예상 연금액 (65세 수령 기준) 100만 원 약 35만 원 200만 원 약 58만 원 300만 원 약 80만 원 400만 원 약 103만 원 500만 원 약 125만 원 ※ 실제 금액은 가입 기간, 물가상승률, 연기/조기 수령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Q&A: 자주 묻는 질문
Q. 10년 미만 가입자는 연금 못 받나요?
A. 기본적으로 불가하며 반환일시금으로 돌려받게 됩니다. 하지만, 임의가입 (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이 아닌 사람이 원하는 경우 가입) 또는 임의계속가입 (60세 이상이 된 가입자가 계속해서 가입)으로 10년 채우면 연금 수령 가능합니다.
Q. 국민연금 연기하면 이득인가요?
A. 예. 최대 5년까지 연기 가능하며, 1년당 7.2%(매월 0.6%)씩 최대 36% 연금 증가. 출생연도별 수급개시연령에 따라 최대 연기 가능 나이는 67세~70세까지 가능
Q. 수령 시작을 당기면 불이익 있나요?
A. 출생연도별 수급개시연령보다 최대 5년 일찍 조기수령 가능하며, 1년당 6%씩 감액(매월 0.5%), 최대 –30%
Q. 연금 인상되나요?
A.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일부 인상됩니다. 2025년의 경우 전년 대비 2.3% 인상되었습니다.
국민연금, 미리 확인하면 전략이 보인다
국민연금은 단순히 '내는 돈'이 아니라 '노후에 받을 수 있는 확정적 수입'입니다.
내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확인해보면 추가 납입, 연기 수령 등 전략적인 준비가 가능해집니다.
홈페이지 또는 앱으로 1분이면 확인 가능하니 아래의 조회하기를 눌러 오늘 바로 '내 연금' 확인해보세요.
'생활경제와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대선 탄소경제 공약 비교 – 이재명 vs 김문수 (0) 2025.05.27 기초연금 만65세 이상 대상자와 신청방법, 예상금조회까지 (0) 2025.05.24 예금보호 한도 1억 원 상향 2025년 9월부터 시행 (0) 2025.05.23 선물금리 하나로 FOMC를 예측하는 1분 공식 (1) 2025.05.22 선물금리란? 금리 방향을 미리 예측하는 시장의 힌트 (3) 2025.05.22